계조암은 신흥사의 산내 암자로 석굴로 지어진 곳입니다. 신라, 진덕여왕 6년(652년) 지장율사가 건립하였는데 본래는 자장, 동산, 봉정 세 승려가 수도하던 곳으로, 이후 원효대사와 의상대사 등에게 계승되었다 하여 계조암이라 부릅니다. 창건이후에 대해 자세한 역사는 알 수 없으나 <신흥사사적기>에는 `1890년(고종 27년) 응화가 삼성각을 세우고, 1908년 동암이 단청을 하고, 동고가 후불탱화를 만들었다.`고 기록되어 있습니다. 현존하는 당우로는 법당인 석굴과 삼성각, 요사채 등이 있으며, 석굴 안에 봉안된 아미타불과 나반존자상은 영험력이 커 참배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 석굴 앞에는 문 역할을 하는 쌍용바위가 있고, 쌍용바위 앞에는 100여 명이 함께 식사를 할 수 있다 하여 식당암(食堂岩)이라 부르는 반석이 있으며, 식당암 머리 부분에는 흔들바위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한 우각석(牛角石)이 있습니다. 또한 계조암 위로는 울산바위가 장엄한 자태를 드러내고 있어 절경을 이룹니다.